[한자 어휘 산책] 故(고)자가 포함된 단어들
페이지 정보
본문
-故鄕, 故國, 事故, 大故, 有故, 無故, 別故, 緣故, 變故, 故意, 故人, 物故, 作故-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에는 故(고)자가 포함된 것들이 적지 않다. 예를 들면 故意(고의), 故人(고인) 같은 단어들이다. 대부분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익숙한 단어들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고의’는 1) ‘일부러 하는 생각이나 태도’, 2) ‘자기의 행위에 의하여 일정한 결과가 생길 것을 인식하면서 그 행위를 하는 경우의 심리 상태’로 풀이하고 있고 ‘고인’은 1) ‘죽은 사람’, 2) ‘오래전부터 사귀어 온 친구’라고 풀이하고 있다. 사람들 대부분은 이 단어들을 사전에서 풀이하고 있는 의미대로 별다른 어려움이나 궁금함 없이 자연스럽고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다. 문제는 한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 단어들이 원래 한자의 의미와 관련하여 왜 그런 뜻을 갖게 되었는가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고 이에 대한 설명도 쉽게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이런 점을 알기 위해서는 故(고)자의 의미를 분명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고대 한자문화권의 사람들의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통해 故(고)자의 의미를 생각해보자.
고대 한자문화권의 사람들은 세상의 모든 존재자[物]와 그(것)의 활동[事]은 동적 상태 즉, 끊임없는 흐름의 과정[道] 중에 있다는 점을 중시했다. 나아가 그들은 어떤 것의 현재의 모습이나 상태는 과거에 그것이 거쳐왔던 과정의 결과물이라고 생각했다. 이런 생각을 함축하여 담고 있는 글자가 故이다. 이전 글에서 살펴본 고대 문헌 속의 故자의 의미를 통해 이런 점을 살펴보자. 故자의 의미는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먼저 확보되어야 하는 것’(《묵자(墨子)》), 2) ‘별과 별자리들의 지나온 자취’(《맹자(孟子)》), 3) ‘어떤 일을 하도록 시키는 것’(《설문해자(說文解字)》)이다. 1)은 논증의 결론에 이르기 위해 필요한 전제를 의미한다. 2)는 별이 현재의 위치에 있기 위해서 거쳐왔던 과정 즉 자취이다. 3)은 ‘使爲之’를 번역한 것으로 ‘--를 하도록 시키다’ 또는 ‘--가 되도록 하다’라는 의미이므로 어떤 모습이나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보면 고대 문헌에 나타난 故자는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즉 ‘현재의 모습 또는 상태를 만들어낸 지나온 과정이나 자취’이다.
★ 故(고)자가 포함된 단어들 풀이
○ 고향(故鄕)·고국(故國): 떠났지만 현재의 나의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해 주는, 또는 나의 지나온 자취가 남아 있는 고을[鄕], 또는 나라[國]
○ 사고(事故): 일상에 지장이나 변화를 가져올 일[事]을 만드는 사태
○ 대고(大故): 大事故의 줄임말. 부모의 죽음. 이때의 事는 喪事이다. 전통사회에서 부모의 죽음은 기존에 해오던 모든 사회 활동을 멈추고 장례 일에 전념할 수밖에 없는 가장 중요한 사태이다.
○ 유고(有故)·무고(無故): 일상에 지장이나 변화를 가져올 일을 할 수밖에 없는 질병, 죽음 등 사태가 있거나 없음
○ 별고(別故)·변고(變故): 일상에 지장이나 변화를 가져올 일을 할 수밖에 없는 재난이나 변칙적인 사태
○ 연고(緣故): 이어지거나 연결된 지나온 자취나 흔적
○ 고의(故意): 예상하거나 정해진 결과에 이르게 할 의도
○ 고인(故人): 1) 세상에 더 이상 없어 자취만 있는 사람, 죽은 사람 2) 이전부터 자취를 함께 만들어온 사람, 오래된 친구[故舊]
○ 물고(物故): 몰고(歾故)에서 와전된 단어로 죽음에 이르게 하는 사태
○ 작고(作故): 작고(作古)에서 와전된 단어로 옛사람이 되다. 죽다.